PC와 시놀로지 나스 랜선 직접 연결

PC와 시놀로지 나스 랜선으로 직접 연결

이런 저런 이유로 회사에서 시놀로지 나스를 네트워크 모드로 사용할 수 없어서, 업무용 데스크탑/노트북과 직결로 구축했다. NAS 뜻이 Network-Attached Storage 인데 네트워크가 아닌 랜선 직결 형식이다. 우리는 보통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연결된 스토리지를 외장하드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게 뭐냐… 이럴라면 차라리 DAS를 쓰고 말지..
시놀로지 말고, 큐냅(QNAP)에서도 케이블로 직결을 지원하는데, 시놀로지에서도 잘 된다.

직결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시놀로지 나스와 데스크탑/노트북과 랜케이블로 연결
    시놀로지 나스 뒷편의 RJ45 랜선 꼽는 곳에 랜선을 연결한다. 그리고 랜선을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랜선에 꼽는다. 아주 쉽다.
  2. 윈도우 네트워크에서 나스 검색
    나는 윈도우와 연결했다. 윈도우 네트워크 설정에서 시놀로지 나스로 보이는 연결 네트워크 어댑터를 확인한다.
    보통 터미널에서 ipconfig all 명령어로 169.254.xxx.xxx 로 떨어지는 어댑터가 있을텐데 그거다!!!
    의심이 간다면, 시놀로지 나스에 꼽힌 랜선을 뽑아보자… 사라진 어댑터가 그녀석이다.
  3. 웹브라우저에서 해당 주소 입력
    웹브라우저를 띄우고, 나스에 할당된 IP 주소를 입력하면 바로 연결이 가능하다. 보통 169.254.x.x 로 연결된다.
  4. DSM_DS223 pat 파일 다운로드 받아서 나스OS 설치
    나스는 랜선이 꼽혀있지만,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다. 그래서 인터넷에 접속해 있어야 가능한 업데이트가 불가능하다.
    시놀로지 나스 사이트에서 해당 모델명으로 DSM 운영체제를 다운로드 받고, 해당 파일로 나스 운영체제를 설치하면 된다.
  5. 패키지에서 Universal Viewer, Synology Application Service, Node js v18, Synology Drive 순으로 설치
    역시나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위 패키지를 시놀로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그래야 시놀로지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고, 나스에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과정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었을 때와 동일한 설정을 진행하면 됩니다.
NAS 인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PC와 시놀로지 드라이브 용도로만 사용한다.
데이터 백업을 위해 DAS도 고민해봤으나, 개인적으로는 시놀로지 드라이브 싱크 기능이 너무 좋아서, 이렇게 사용한다.

업무용 메인 시스템이 노트북인 경우, 안에 용량 늘리기보다는
나스에 데이터 저장하고, 노트북은 들고다녀도 된다. 외부에서 자료 요청을 할 땐?
“자료가 회사에 있어서 내일 드릴께요…”


5 1 vote
글 만족도 평가하기
guest
1 답글
Oldest
Newest Most Voted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장병한
Guest
장병한
2025-04-05 11:37 오전

안녕하세요! 난간에 봉착했습니다.
169.254.240.210 이렇게 ip까진 찾았는데 웹상에 저 주소로 접속은 안되고 있네요
나스 불량인건가요?
꼭 좀 답장 부탁드릴께요 ^^
전화 주셔도 상관없구요(010-6437-0577)

접속-불량
1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