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시디안
옵시디안은 정말 내게 유용한 도구다. 이것저것 생각나는 것 잊지 않기 위해 적어놓기도 하고, 웹 페이지에서 찾아본 것들을 긁어서 저장해 놓기도 한다. 이렇게 저장한 페이지들은 나중에 옵시디안에서 찾아보기도 편하고, 내용 정리하기도 편하다. 그리고, 일단 일반 텍스트가 아니라 마크다운 형식의 문서라서 좀 더 내게 유용한 도구가 된 것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시놀로지 NAS에 연동시켜 글을 계속 백업하고 있다. 혹시 모를 상황에 자료들이 날라가면 안되니깐…
옵시디안에 적은 글들을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적어 놓기도 한다. 사실 옵시디안을 쓰고 부터는 워드프레스에 글 쓰는 횟수가 부쩍 줄었다. 그 전에도 활발히 올리던 것은 아니었지만, 그때보다 더 줄었다. 이래 가지고 블로그 유지될까 싶기도 하다.
좀 더 편하게 블로그에 글을 올릴 수 없을까?
그래서, 좀 생각을 해봤다. 워드프레스로만 블로그를 운영해야 한다는 법은 없지 않나? 옵시디안과 연동되면서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 Quartz
- 얘는 옵시디안에 글을 쓰면 퍼블리싱 하는 정적 웹 생성기 같은 거다. 시놀로지 나스에 설치를 해보고, 옵시디안 디렉토리와 연동하면서 찍먹해봤으나,
- 일단 내가 원하는 블로그 디자인이 아니다. 다만, 나중에 시간 좀 들이면 튜닝(?)하면서 쓸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은 들었다.
- 그래서 보류
- Obsidian Publish
- 비싸서 포기
- Hugo
- Golang으로 만들어진 정적 웹 생성기다.
- 지금은 안 쓰고 있지만, 예전에 블록체인 프로젝트 할 때 열심히 다루던 언어였는데…
- 얘도 옵시디안과 디렉토리 연동해서 실제로 웹 페이지를 띄워보니, Quartz와 비슷한데 약간 더 수동적인? 그러면서도 좀 더 옵션이 있는 구성이다.
- 그래도, 보류. 디자인이 너무 심플하다.
음 높은 꿈을 안고, 정적 생성기까지 둘러봤지만, 마음에 드는 것이 없다. 이 길은 아닌가보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워드프레스 에디터를 마크다운으로
그냥 옵시디안에 블로그 글을 작성하고, 바로 워드플레스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현재 워드프레스 에디터는 구텐베르크(?) 라는 불리는데, 이게 블록형이다. 나에게는 아주 사용하기 불편하다.
그래서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에서 마크다운 에디터를 찾아 설치하고, 이걸로 글을 올리기 시작했다. 그래 이게 편하다. 더 편한 것을 찾자면, 옵시디안 to 워드프레스라는 플러그인이 있는데, 이것도 사용을 해봐야겠다.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가 2년전이라 조금 무섭긴 하지만…)
- Obsidian Wordpress
- 잠깐 찾아본 봐로는
- 이건 옵시디안에 쓴 글을 워드프레스로 날려서 구텐베르크 형식으로 변환해주는 형식이다.
- 음… 포기
- 일단 구텐베르크 형식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결론
그냥 워드프레스에서 마크다운 에디터를 사용하고, 옵시디안에서 복붙해야겠다. 그게 마음이 편하다. 시간되면 블로그에서 게시한 글과 옵시디안의 글을 비교하면서 동기화 시키는 툴 하나 만들어봐야겠다.